![]() |
|
▲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원. | |
ⓒ 오마이뉴스 안현주 |
또한 김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청와대와 정부, 열린우리당의 지도부와 의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분양원가 공개는 애초 열린우리당이 4·15 총선 공약으로 내세운 대표적인 개혁과제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총선 이후 정부쪽에서 난색을 표명하면서 백지화 논란이 있었고, 최근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나서 '분양원가 공개 반대'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매우 난처한 처지에 놓였다.
이에 신기남 의장과 천정배 원내대표도 "서민 주택 가격의 안정화라는 목표에 대해 당과 정부·청와대의 입장이 같기 때문에, 구체적인 정책과 방법에 대해서는 당·정과 당·청 간의 원활한 협의를 통해 조율하면 된다"는 지극히 원론적이고 애매모호한 입장을 취했다. 또한 그 누구도 분양원가 공개와 관련해 노 대통령과 정부쪽을 향해 '아니오'라고 자신 있는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김근태 의원이 14일 "(정책의) 집행을 책임지고 있는 청와대나 정부와 대다수 서민의 눈높이에 맞출 수밖에 없는 정당간에 (정책을 둘러싼) 마찰과 불협화음이 있는 것은 탈권위주의 시대에 당연한 일"이라며 "공공주택 분양가처럼 중요한 문제는 (당과 청와대가) 계급장을 떼고 치열하게 논쟁하자"고 침묵하는 다수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국민들은 각 정당이 제시한 공약을 보고 (정당과 후보를) 선택했기 때문에 선거 공약을 함부로 바꿀 수는 없고, 특히 서민들의 삶과 직결된 민생 문제는 더욱 그렇다"며 "만약 (공약을) 바꾸려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절차와 과정을 밟아서 국민들의 양해를 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국민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어떤 형태로든 약속 파기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일부에서 말하는 시장 논리를 부정하고 싶지 않지만 공공주택 공급은 서민을 위한 공공재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일반 기업의 이윤창출 논리와는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는 것이 정당하다"며 "그런 차원에서 공공주택 분양원가를 공개하는 것을 전향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분양가 공개는 개혁이고, 원가연동제는 개혁 후퇴라는 발상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전제한 뒤 "원가연동제의 긍정성을 부정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절차와 해명 과정 없이 우리당의 총선 공약을 그냥 포기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우리가 유의할 점은 무엇이 국민을 더욱 편안하게 하고, 무엇이 더욱 민생을 돌봐 국민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논의의 초점을 모아야 한다"며 "외부 환경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말고 조급하지 않게 확실한 국민적 공감대를 만들어나가자"고 제안했다.
다음은 공공주택 분양원가 공개와 관련해 김근태 의원이 발표한 글 전문이다.
소리 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자! 공공주택 분양원가 공개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일각에서는 개혁의 후퇴라며 우리당과 대통령을 강하게 성토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시장원리에 충실한 당연한 결정이라며 환영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집 없는 서민들의 경우 대단한 실망과 허탈감에 휩싸여 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논의를 출발하기 전에 몇 가지 전제를 확인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