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5/1925091_13457.html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5/1925091_19610.html
하청금액 인상 정부 지시 무시 대기업 건설업체 횡포[강명일]
만드는 한 건설업체
● 앵커: 정부가 시행하는 건설공사가 가진 고질적인 문제점을 진단해 보는 순서.
오늘은 하청 금액을 올려주라는 정부지시를 무시하면서까지 하청기업을 힘들게 만드는 한 건설업체를 고발합니다.
강명일 기자입니다.
● 기자: 강원도 연하-신동 국도건설현장.
흙을 나르고 쌓고 다지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하지만 전혀 공사를 하지 않고 있는 구간도 있습니다.
하청업체가 부도로 문을 닫았기 때문입니다.
● 하청업체 관계자: (여러 건설현장에서) 저가로 수주하고 추가 공사비를 못받은 거죠.
● 기자: 당초 정부로부터 공사를 맡은 곳은 경남기업.
경남기업은 흙을 나르고 다지는 공사를 위해 80억원에 하청을 줬습니다.
그러나 정부로부터 받은 낙찰금액은 127억원.
47억원이나 적은 돈으로 하청을 준 것입니다.
건설교통부가 하청 계약을 다시 하라고 공문까지 내려보내자 경남기업은 그럴 바에는 직접 시공을 하겠다고 보고했습니다.
● 건교부 원주지방 국토관리청: 토공시는 (하청을 안 주고 ) 경남기업에서 직접 하는 것으로 감리단에서 그렇게 보고를 받았어요.
● 기자: 실제로는 직접 공사도 하지 않았고 그대로 일을 진행시켰습니다.
● 경남기업 관계자: 다른 업체를 선정하려 하면 가만있지를 않습니다.
● 기자: 90년대 이후 일반 건설업체는 일감을 모두 하도급주는 게 관행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저가하청도 일반적입니다.
하도급 비율이 제대로 신고되지 않다 보니까 하청업체의 어려운 실정이나 불공정한 거래 관행이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 김헌동 국책사업감시단장 (경실련): 다단계 도급이 되면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실제 일하는 사람한테 돌아가는 몫이 적고 실제 일하는 사람은 거기서 이익을 남기기가 굉장히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기자: MBC뉴스 강명일입니다. (강명일 기자)
관련링크: 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1239166_555.html
● 앵커: 정부가 시행하는 건설공사가 가진 고질적인 문제점을 진단해 보는 순서.
오늘은 하청 금액을 올려주라는 정부지시를 무시하면서까지 하청기업을 힘들게 만드는 한 건설업체를 고발합니다.
강명일 기자입니다.
● 기자: 강원도 연하-신동 국도건설현장.
흙을 나르고 쌓고 다지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하지만 전혀 공사를 하지 않고 있는 구간도 있습니다.
하청업체가 부도로 문을 닫았기 때문입니다.
● 하청업체 관계자: (여러 건설현장에서) 저가로 수주하고 추가 공사비를 못받은 거죠.
● 기자: 당초 정부로부터 공사를 맡은 곳은 경남기업.
경남기업은 흙을 나르고 다지는 공사를 위해 80억원에 하청을 줬습니다.
그러나 정부로부터 받은 낙찰금액은 127억원.
47억원이나 적은 돈으로 하청을 준 것입니다.
건설교통부가 하청 계약을 다시 하라고 공문까지 내려보내자 경남기업은 그럴 바에는 직접 시공을 하겠다고 보고했습니다.
● 건교부 원주지방 국토관리청: 토공시는 (하청을 안 주고 ) 경남기업에서 직접 하는 것으로 감리단에서 그렇게 보고를 받았어요.
● 기자: 실제로는 직접 공사도 하지 않았고 그대로 일을 진행시켰습니다.
● 경남기업 관계자: 다른 업체를 선정하려 하면 가만 있지를 않습니다.
● 기자: 90년대 이후 일반 건설업체는 일감을 모두 하도급주는 게 관행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저가하청도 일반적입니다.
하도급 비율이 제대로 신고되지 않다 보니까 하청업체의 어려운 실정이나 불공정한 거래 관행이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 김헌동 국책사업감시단장 (경실련): 다단계 도급이 되면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실제 일하는 사람한테 돌아가는 몫이 적고 실제 일하는 사람은 거기서 이익을 남기기가 굉장히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기자: MBC뉴스 강명일입니다.
[출처] [MBC] 건설비리 - 대기업 횡포|작성자 메리엉클
'공정임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청 58%에 하청주고 82%라 속여 (0) | 2016.04.12 |
---|---|
턴키발주 몽땅하청 다떼먹어 (0) | 2016.04.12 |
벽돌공도 의사 수준의 대우를 받는 나라 (0) | 2016.03.01 |
네델란드 저녁이 있는 삶 노동자들 [SBS 특집] (0) | 2016.02.24 |
벽돌공도 의사 수준 대우를 받고, 직함이 아니라 이름으로 부른다. (0) | 2016.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