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정동영 의원 분석…'상위 1% 법인' 보유 땅도 약 2배 증가
다주택자 (PG)[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최근 10년 동안 주택 보유 상위 1%의 1인당 평균 주택 보유량이 갑절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개인의 토지 보유는 줄어든 반면 법인은 크게 증가했고, 법인 상위 1%의 보유 토지 면적과 땅값 역시 2배가량으로 뛰었다.
8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민주평화당 정동영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지난 10년간 토지·주택 등 부동산 소유 통계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세청 부동산 보유 100분위 기준 개인 상위 1%의 주택 보유량은 2007년 1인당 평균 3.2채에서 2017년 6.7채로 증가했다.
개인 상위 1% 주택 평균 보유량은 2007년 3.2채에서 2012년 4.6채로 이명박 정부 기간에는 1.4채 늘었고, 이후 계속 증가해 2016년 6.5채로 박근혜 정부 기간에는 2.1채 늘었다고 정 의원은 분석했다.
이들이 보유한 주택의 가격 총액 역시 2007년 123조8천억원에서 202조7천억원으로 64% 늘었다.
상위 10% 다주택자의 주택 보유량도 2007년 평균 2.3채에서 2017년 3.3채로 증가했다.
이들이 보유한 주택수는 지난 10년간 208만호가 늘어 개인 보유 주택 증가량(521만호)의 40% 가까이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정 의원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에도 상위 1∼10%의 다주택자가 대부분 독식한다며 분양원가 공개·분양가 상한제 도입,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같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개인 보유 토지 면적은 5.9% 줄어든 반면 법인 보유 토지는 80.3% 늘어났다.
특히 100분위 기준 상위 1% 법인의 보유 토지는 2.4배(140.5%)로 증가, 전체 법인 보유 부동산 증가량의 87.6%를 차지했다.
상위 1% 법인의 보유 토지는 판교신도시의 700배, 여의도의 2천100배 규모에 해당한다고 정 의원은 전했다.
토지 금액 기준으로는 개인 보유 토지는 10년 동안 38.9%가 증가한 데 비해 법인 보유 토지는 143.1%, 상위 1% 법인 보유 토지는 180% 늘었다.
정 의원은 "대기업과 다주택자 모두 부동산 투기에 집중했다"며 "부동산 불로소득 환수를 위한 공시가격·지가 현실화와 보유세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최근 10년 동안 주택 보유 상위 1%의 1인당 평균 주택 보유량이 갑절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개인의 토지 보유는 줄어든 반면 법인은 크게 증가했고, 법인 상위 1%의 보유 토지 면적과 땅값 역시 2배가량으로 뛰었다.
8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민주평화당 정동영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지난 10년간 토지·주택 등 부동산 소유 통계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세청 부동산 보유 100분위 기준 개인 상위 1%의 주택 보유량은 2007년 1인당 평균 3.2채에서 2017년 6.7채로 증가했다.
개인 상위 1% 주택 평균 보유량은 2007년 3.2채에서 2012년 4.6채로 이명박 정부 기간에는 1.4채 늘었고, 이후 계속 증가해 2016년 6.5채로 박근혜 정부 기간에는 2.1채 늘었다고 정 의원은 분석했다.
이들이 보유한 주택의 가격 총액 역시 2007년 123조8천억원에서 202조7천억원으로 64% 늘었다.
상위 10% 다주택자의 주택 보유량도 2007년 평균 2.3채에서 2017년 3.3채로 증가했다.
이들이 보유한 주택수는 지난 10년간 208만호가 늘어 개인 보유 주택 증가량(521만호)의 40% 가까이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정 의원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에도 상위 1∼10%의 다주택자가 대부분 독식한다며 분양원가 공개·분양가 상한제 도입,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같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개인 보유 토지 면적은 5.9% 줄어든 반면 법인 보유 토지는 80.3% 늘어났다.
특히 100분위 기준 상위 1% 법인의 보유 토지는 2.4배(140.5%)로 증가, 전체 법인 보유 부동산 증가량의 87.6%를 차지했다.
상위 1% 법인의 보유 토지는 판교신도시의 700배, 여의도의 2천100배 규모에 해당한다고 정 의원은 전했다.
토지 금액 기준으로는 개인 보유 토지는 10년 동안 38.9%가 증가한 데 비해 법인 보유 토지는 143.1%, 상위 1% 법인 보유 토지는 180% 늘었다.
정 의원은 "대기업과 다주택자 모두 부동산 투기에 집중했다"며 "부동산 불로소득 환수를 위한 공시가격·지가 현실화와 보유세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ses@yna.co.kr
[경실련 발표] 재벌들 땅값 상승만 600조원
[오마이뉴스 신상호 기자]
보수 정부 시절인 지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재벌 대기업들이 보유한 토지 규모가 2.4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상위 1% 다주택자들이 보유한 주택 수도 평균 3채에서 6채로 늘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실과 공동으로 2007~2017년 국세청 토지·주택 등 부동산 소유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먼저 토지의 경우 지난 10년간 개인 보유 토지는 5.9% 줄어든 반면, 법인 보유 토지는 2007년 총 51억 3100㎡에서 2017년 92억 5300㎡로 무려 80.3%나 늘었다.
법인 중에서도 재벌 대기업들이 보유한 토지 규모가 크게 늘었다. 토지를 보유한 법인 중 상위 1%(총 1752개사)가 소유한 토지 규모는 2007년 25만 7000㎡에서 2017년 61만 8200㎡로 무려 2.4배나 늘었다.
재벌들의 토지 환산 금액은 2007년 350조 원에서 2017년 980조 원으로 2.8배 증가했다. 대기업들은 설비투자와 인건비 부담이 필요 없고, 토지가격 상승만으로 엄청난 이익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토지 소유 비중을 늘리는 것이라는 게 경실련 분석이다.
주택에서도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뚜렷하다.
주택보유자 중 상위 1%(14만명)인 다주택자들이 소유한 주택은 지난 2007년 총 37만호였다. 그런데 2017년에는 이들 다주택자들이 보유한 주택은 총 94만호로 급증한다. 판교신도시(3만 가구)를 23개 공급할 수 있는 물량이다.
상위 1%의 1인당 평균 보유 주택 수는 2007년 3.2채였지만 2017년에는 6.7채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이들이 소유한 총 주택 가격도 2007년 123조 8000억 원에서 2017년 202조 7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오마이뉴스 신상호 기자]
![]() |
▲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을 앞둔 지난 9월 13일 오후 서울 도심에 밀집해 있는 아파트의 모습들. |
ⓒ 이희훈 |
보수 정부 시절인 지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재벌 대기업들이 보유한 토지 규모가 2.4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상위 1% 다주택자들이 보유한 주택 수도 평균 3채에서 6채로 늘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실과 공동으로 2007~2017년 국세청 토지·주택 등 부동산 소유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먼저 토지의 경우 지난 10년간 개인 보유 토지는 5.9% 줄어든 반면, 법인 보유 토지는 2007년 총 51억 3100㎡에서 2017년 92억 5300㎡로 무려 80.3%나 늘었다.
법인 중에서도 재벌 대기업들이 보유한 토지 규모가 크게 늘었다. 토지를 보유한 법인 중 상위 1%(총 1752개사)가 소유한 토지 규모는 2007년 25만 7000㎡에서 2017년 61만 8200㎡로 무려 2.4배나 늘었다.
재벌들의 토지 환산 금액은 2007년 350조 원에서 2017년 980조 원으로 2.8배 증가했다. 대기업들은 설비투자와 인건비 부담이 필요 없고, 토지가격 상승만으로 엄청난 이익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토지 소유 비중을 늘리는 것이라는 게 경실련 분석이다.
주택에서도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뚜렷하다.
주택보유자 중 상위 1%(14만명)인 다주택자들이 소유한 주택은 지난 2007년 총 37만호였다. 그런데 2017년에는 이들 다주택자들이 보유한 주택은 총 94만호로 급증한다. 판교신도시(3만 가구)를 23개 공급할 수 있는 물량이다.
상위 1%의 1인당 평균 보유 주택 수는 2007년 3.2채였지만 2017년에는 6.7채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이들이 소유한 총 주택 가격도 2007년 123조 8000억 원에서 2017년 202조 7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다주택자 주택 집중적으로 늘려
다주택자들의 주택 보유량이 집중적으로 늘어난 시기는 박근혜 정부 시절이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7~2012년 상위 1% 다주택자들의 1인당 평균 주택 보유량은 1.4채 증가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2017년 1인당 주택보유량은 2.1채 증가한다.
사실 2007~2017년은 판교신도시와 위례신도시 등 수도권 지역 아파트가 집중 공급된 기간이다. 하지만 공급된 주택은 대부분 다주택자들에게 넘어갔다.
상위 10%가 보유한 주택 수는 지난 2007년 261만 호에서 2017년 469만 호로 증가했다. 지난 10년 전체 주택 증가량(521만 호) 가운데 40%인 208만 호가 상위 10% 부동산 부자들에게 넘어간 것이다.
결국 '집 지어서 집 부자들에게 줬다'는 게 경실련 분석이다.
김성달 경실련 팀장은 "박근혜 정부의 빚내서 집사라 정책으로 인해 기존 유주택자들이 더 많은 주택을 구입했다"면서 "10년간 공급한 물량의 대부분은 상위 10% 부동산 부자들이 가져갔는데, 정부의 단순 공급 정책의 한계를 뚜렷히 볼 수 있는 지점"이라고 밝혔다.
김 팀장은 "고장 난 공급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개선 없이 주택 공급만 확대하는 정책은 또 다시 상위 10%의 자산만 증식시키는 효과로 나타날 것"이라며 "공공이 토지를 빌려주고, 건물만 분양하는 토지임대부 분양 등 투기를 막을 수 있는 근본 해결책을 담은 주택이 공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경실련이 분석한 상위 10% 주택 보유량 변화 |
ⓒ 경실련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