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송도 황금갯벌 땅값은 "0" 원인데 분양가는 왜? "평당원가 700만원 아파트, 1300만원에 분양?" [다시 부동산을 말한다] 인천 '송도 더샵 하버뷰' 아파트 분양원가 살펴보니 2010-04-23 20일 낮 수화기 너머로 들려오는 조형규(53)씨의 목소리는 격양돼 있었다. 그는 "거의 같은 아파트를 수천만 원 더 내고 분양받았다, 독박을 쓴 것"이라고 말했다. 송도국제.. 거품전쟁 2011.04.09
대통령의 분양원가 공개약속 아직도 안돼 진단 토지주택공사 분양원가 공개약속 불이행 공기업인 토지주택공사의 분양원가를 공개하라. 2010-04-19 경실련은 부동산정책 진단에서 한나라당과 대통령이 분양원가 공개약속을 아직까지 제대로 실천되지 않고 있음을 지적했다. 분양원가를 공개하라는 사법부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아.. 거품전쟁 2011.04.08
시작도 못해보고 사라져간 후분양제도 이제 물건 보고 돈낸다| 기사입력 2003-01-29 17:09 | 최종수정 2003-01-29 17:09존폐의 기로에 선 아파트 ‘선분양제’… 그간 투기 조장하는 폐해 지적돼 아파트란 ‘계약금과 중도금을 미리 내고 3년 동안 기다렸다가 입주하는 것이다’라고 하면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후분양제 2011.04.02
이명박과 아파트 분양원가공개 2003-12-18 분양원가공개, 정부 총력저지 이명박 "아파트당 2억~3억씩 차익" 시인 건설교통부와 국무총리실은 '사전 협의' 형식을 빌어 연내에 분양원가를 공개하려는 서울시 도시개발공사에 간접압박을 가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도 일고 있다. 원가공개 판결에 편법으로 저항 공기업인 .. 거품전쟁 2011.04.02
"문제는 가격이야. 바보야."(펌) (문제는 부동산을 검색하던 중 발견 한 글이다.) 국내사례가 아닌 미국 사례를 정리한 글인데 우리 실정에 참고 될 듯 클린턴이 지난 90년대 선거유세에서 써먹었던 말이 바로, It's the economy. Stupid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 였다고 합니다. 오바마는 다들 아시다 시피, Yes, We can. 이구요. 요즘 강남을 비롯.. 부실부실 2011.04.02
아파트값 중심으로 이명박후보에 대한 2007년 평가 [지금 강남은] 이명박의 아파트 재건축 규제 완화에 '들썩' 2007-09-22 11:44:35 기사프린트 기사모으기 “서울 한가운데서 재개발, 재건축하고 용적률 조금 높여주면 신도시 몇 개 만드는 것보다 낫다.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 17일 <매일경제> 인터뷰) “나는 서울뿐 아니라 기존도심개발을 어떻게 할.. 짝퉁진보 2011.04.01
조중동과 토건오적 바로잡는 특효약은 후분양제 정부는 후분양제 확대도입 의지 갖고 있나? 후분양제 로드맵과 상충되는 11.15 대책 기사입력 2006-11-21 오전 9:29:49 20일 건설교통부는 "11.15 대책에서 밝힌 '공급확대 로드맵'에 기존의 '후분양제 로드맵'이 반영됐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공공부문의 주택공급 부분에는 후분양제 로드맵이 고려됐지만.. 후분양제 2011.03.28
조중동이 만든 "전세대란" 대체 누굴 걱정하나? 중앙일보와 서울신문 등 일부 신문들이 최근 잇달아 전세값 상승 추세가 집값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자칫 집값 급등으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식의 불안감을 부추기는 기사들을 게재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들 신문들의 이같은 집값 상승 우려 바람잡기는 사실과 다를 뿐만 아니라, 전세값 상승 요.. 임대시장 2011.03.27
상위 5%가 65%에서 82.7%로 토지소유 늘려 개혁적인 토지정책 땅과 빈부격차 고리 끊으려 도입한 '토지공개념' 당시 상위 5%가 전체 땅 65% 소유, 자산격차 심화 서민 박탈감·원성 커지자 88년 '토지공개념위' 발족 일부 조세저항·위헌판결 불구 역대 가장 진보적 정책 한국사회는 전형적인 토지중심사회이다. 땅이 가장 확실한 이.. 국민행동 2011.03.27
건설의 경쟁력은 국가경쟁력 [ 건설의 경쟁력은 국가 과학기술과 제조업의 경쟁력 ] 김헌동(경실련 국책사업감시단장) 공공분야에 있어 치열한 경쟁 입찰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주택부문에 있어 후분양제도를 도입하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막대한 국가예산을 절감하고 부패척결을 이루어내야 합니다. 이러한 개혁은 이공계 위기.. 관료개혁 2011.03.27